맨위로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1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1호는 2017년 8월 5일, 북한의 핵 및 탄도 미사일 개발에 대응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제재 결의안이다. 이 결의안은 북한의 주요 수출 품목인 석탄, 철, 수산물, 납 등의 수출을 금지하고, 금융 제재를 강화하여 북한의 외화 수입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신규 북한 해외 노동자 수용을 금지하고 기존 노동자 수를 제한하는 등 다양한 제재 조치를 포함한다. 이 결의는 북한의 핵 개발을 억제하고 비핵화를 압박하려는 국제 사회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았지만, 제재 회피 시도와 이행의 일관성 부족 등의 과제도 지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97호는 2017년 북한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유류 공급 제한, 해외 노동자 송환, 수출입 금지 품목 확대, 해상 차단 조치 강화 등 북한의 외화 수입을 차단하는 제재를 담고 있다.
  • 2017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5호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의 외화 획득을 막기 위해 자원 수출입, 해외 노동자 파견, 합작 사업 등 경제 활동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석유, 천연 가스, 섬유 등의 교역 제한 및 북한 선박 검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대북 제재 결의이다.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2017년 9월 3일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 장착용 수소폭탄 시험이라 주장하는 6차 핵 실험을 감행하여 인공 지진과 함께 국제적 비판 및 한반도 긴장 고조를 야기했다.
  • 201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17년 8월 2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2017년 8월 29일 북한은 평양에서 화성-12형 미사일을 발사하여 일본 상공을 통과, 태평양에 낙하시켰고, 이는 북한 탄도 미사일이 일본 상공을 통과한 최초 사례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 및 관련국들의 규탄과 추가 제재 논의를 야기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087호는 2013년 북한의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규탄하며 채택된 결의로, 기존 대북 제재 강화, 금융 거래 감시 강화, 화물 검사 및 처분 방법 명확화 등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억제하려 했으나, 효과에 대한 비판과 인도적 상황 악화 우려가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695호는 200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규탄하고 탄도 미사일 관련 활동 중단 및 대량살상무기 관련 물품 이전을 금지하는 결의안으로, 채택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거부하며 반발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1호
결의 정보
결의 번호2371
기관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날짜2017년 8월 5일
회의8019
문서 코드S/RES/2371
문서 링크S/RES/2371(2017)
찬성15
기권0
반대0
주제비확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결과채택
한반도 비무장 지대
한반도 비무장 지대
내용
세부 내용북한의 ICBM 발사에 대한 제재
9명 4단체의 자산 동결
석탄 수출 제한을 전면 금수로 변경
납, 납광석, 해산물의 금수
북한 노동자 수용 제한

2. 역사적 배경

2006년 북한 1차 핵실험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막기 위해 여러 차례 제재 결의안을 채택했다. 2017년 7월, 북한은 화성 14호를 2회 발사하며 ICBM 능력을 과시했다. 이는 1718 (2006), 1874 (2009), 2087 (2013), 2094 (2013), 2270 (2016), 2321 (2016), 2356 (2017) 등 기존 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다.

유엔헌장 제7장 제39조에 따라, 유엔 안보리는 회원국의 국제법 위반 여부를 판결하고, 이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재 조치는 제41조 비군사적 제재 조치와 제42조 군사적 제재 조치가 있으며, 보통은 제41조 비군사적 제재 조치를 취하는 것이 관행이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의 만장일치와, 추가로 비상임이사국 4개국의 동의가 필요하다.

3. 주요 내용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1호는 2017년 7월 4일7월 28일 북한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여 채택되었다. 이 결의는 이전의 5차례 핵실험과 잦은 탄도 미사일 발사로 인해 채택된 결의 1718, 결의 1874, 결의 2094, 결의 2270, 결의 2321, 결의 2356에 이어 유엔 헌장 제7장에 따른 제재 조치로서, 특히 경제 제재에 관한 행동을 규정하는 제41조를 명시하고 있다.

이 결의안은 북한의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사용되는 수출에 대한 여러 부문별 금지 조치를 포함하고 있다.

3. 1. 수출 제재

새로운 제재로 북한은 석탄, 철, 납, 해산물의 전 세계에 대한 수출이 금지되었다. 이는 대략 10억달러 규모로서, 북한 한 해 외화벌이의 1/3에 해당한다. 결의안은 북한이 핵 및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자금 조달에 사용하는 수출에 대한 여러 가지 전면적인 부문별 금지를 부과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품목수출 금지 효과 (연간)
석탄4.01억달러 이상
철 및 철광석약 2.5억달러
해산물약 3억달러
납 및 납광석약 1.1억달러


3. 2. 금융 제재

이 결의는 북한의 조선무역은행에 대한 해외 자산 동결을 포함하도록 이전의 금융 제재를 확대하여 북한의 국제 금융 시스템 접근을 강화한다.

9명과 4개 단체가 자산 동결 대상으로 추가 지정되었다.[7] 다만, 외교·영사 사절단의 활동과 유엔 및 유엔과 조율 하에 이루어지는 인도주의 활동을 목적으로 한 조선무역은행, 조선민족보험총회사와의 금융 거래는 제외된다.[8] 은행 외에도 은행이 제공하는 것에 상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금융 기관으로 간주함을 명확히 하였다.[9]

3. 3. 기타 제재

각국은 신규 북한의 해외 노동자 수용을 금지하고, 기존 노동자 수를 결의 채택 시점의 인원으로 제한한다.[16] 제재 위반과 관련된 선박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고, 각국의 북한 선박 임대를 금지한다.[4][5][6] 제재 위원회는 금지 품목을 추가 지정할 수 있다.[1] 국제 형사 경찰 기구(INTERPOL)에 제재 대상 인물을 국제 수배하도록 요청한다.[3] 제재 위원회의 승인 없는 북한과의 새로운 합작 기업 및 공동 사업체 설립을 금지한다.[10][11]

4. 결의 채택 경위

2006년 북한 1차 핵실험 이래, 북한에 대한 6번째 무역 제재이다.

2017년 7월, 북한은 화성 14호를 2회 발사했는데, 이는 국제법 위반이다. 이번 결의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ICBM 2회 시험 발사가 현재 국제법으로 유효한 유엔 안보리 결의 1718 (2006), 1874 (2009), 2087 (2013), 2094 (2013), 2270 (2016), 2321 (2016), 2356 (2017)를 위반했다고 확인했다.

유엔헌장 제7장 제39조에 따라, 유엔 회원국이 국제법을 위반한 경우, 유엔 안보리가 그 국제법 위반 여부를 확인하고 판결하며, 그 위반에 대한 형사처벌 판결을 한다. 국제법상 국가에 대한 형사처벌은 없지만, 그와 비슷한 유엔헌장 제7장에 따른 제재 조치를 취한다. 제7장의 제재 조치는 제41조 비군사적 제재 조치와 제42조 군사적 제재 조치가 있으며, 보통은 제41조 비군사적 제재 조치를 취하는 것이 관행이다.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의 만장일치와, 추가로 비상임이사국 4개국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 결의안을 채택하기 전에 북한은 2017년에 14차례의 미사일 시험을 실시하여,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능력을 발전시켰다. 2017년 7월의 시험은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었다. 이 시험을 통해 북한은 처음으로 미국 본토 일부까지 탄두를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북한이 핵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일련의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유엔은 2006년 처음 제재를 부과한 이후 6번째로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를 강화했다.

결의 채택 경위는 다음과 같다.

5. 위반 사례

2018년 1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71호를 위반하여 북한산 석탄이 러시아산 석탄으로 서류가 위조되어 한국과 일본에 수출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북한과 러시아는 이에 즉각 반발했다.[19]

6. 평가 및 과제

새로운 제재 강화는 북한 정권으로부터 연간 10억달러, 즉 외화 수입의 3분의 1을 박탈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북한 정권은 중국의 불법 자금을 사용하여 사업 파트너십에 자금을 지원하는 등 제재를 피하는 데 능숙해졌다. 이러한 위험한 거래에 대한 높은 수수료는 더 유능한 중개인을 끌어들인다. 제재 이행은 일관성이 부족했다. 유엔의 193개 회원국 중 77개국만이 2016년 11월에 채택된 이전 제재 라운드의 이행에 대해 보고했다.

또한 북한 무역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은 새로운 제재를 "완전하고 엄격하게" 적용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새로운 제재에는 북한 정권에 실질적인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는 조치, 즉 북한의 석유 수입 제한은 포함되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제재와 대화의 병행을 강조하며, 실효성 있는 제재 이행과 함께 북한과의 대화 재개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조

[1] 결의 決議第4項及び5項
[2] 결의 決議第3項及び附属書I
[3] 결의 決議第23項
[4] 문서 緊急事態や船舶が出発港に戻る場合、制裁委員会が承認した場合を除く。
[5] 결의 決議第6項
[6] 결의 決議第7項
[7] 결의 決議第3項及び附属書I、II
[8] 결의 決議第26項
[9] 결의 決議第14項
[10] 문서 既存の合弁会社への追加投資も禁止。
[11] 결의 決議第12項
[12] 문서 従来は年間400,870,018米ドルか750万トンのいずれか低い方だった。
[13] 결의 決議第8項
[14] 결의 決議第9項
[15] 결의 決議第10項
[16] 결의 決議第11項
[17] 웹사이트 北「ICBM発射成功」 高度2800キロ、40分飛行 EEZ着水、日米韓を牽制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7-07-04
[18] 웹사이트 北朝鮮ミサイルはICBM、米国防総省・韓国軍が分析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17-07-29
[19] 뉴스 북한·러시아, '북한산 석탄 러시아 경유 수출' 보도 즉각 반박 연합뉴스 2018-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